생각/논리72 성범죄가 쉽다고? 1. 논리 의대 남자 교수는 성희롱이 쉽다 야한내용을 가르친다 직원중에 여자가 많다 2. 반박 해부학이 야하다는 전제가 있어야한다. 그런데 해부학은 야한것이 아니다 또한 여자가 많은 것은 성희롱이 일어나는 조건이 아니다. 카페에 노트북을 두고 가는 사람이 많은 것이 절도가 쉽다는 의미는 아니다 3. 결론 이게 무슨 시대착오적 내용인가. 아마 오래전 만화가 아닐까 싶다 2021. 8. 25. 이상한 논리? 소금을 반으로 줄이는 것은 건강이 두배이다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알겠는데 왜 이런 실수가 나왔을까? 소금을 반으로 줄인다면 건강한 결과가 나오는 것으로 인과관계인데 이것을 동일한것으로 했기때문 아닐까? 한국어로는 소금을 반으로 줄이는것은 건강이 2배다 라는 등호로 표현되지만 사실은 등호가 아니다 숫자는 전부 숫자로 쓰라고ㅋㅋ 어떻게 이런 생각을 하는지 참 재미있는 사람이 많다 2021. 7. 25. 자비의 원리 30. 자비의 원리 - 법보신문 붓다의 자비(慈悲)는 원래 따뜻한 마음으로 포근히 품어주는 덕이 아니라 집착을 일으키지 않도록 아무 감정의 개입이 없는 상태로 행해지는 다른 사람의 어려움에 대한 배려라는 사실이 정(情) www.beopbo.com 위 글은 종교적인 입장에서 본 자비의 원리이다. [세상 읽기] 표절과 자비의 원칙 / 김종엽 자비의 원칙(principle of charity)이란 말이 있다. 타자의 발언을 해석할 때, 그가 충분히 일관성 있고 합리적이라고, 최소... www.hani.co.kr 위 기사는 자비의 원리로 어떤 사건을 평가한 내용이다. 자비의 원리는 논리를 할 때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데 최근 글을 읽으면 사람들은 자비의 원리가 없는 것 같다. 혐오와 증오가 넘치는 것을 별개로 .. 2021. 7. 10. 박영진 코빅 사망토론 뭔가 논리가 이상한데 뭔지 모르겠다 1. 외모를 비하하는 발언을 했다 그것은 나쁘다 2. 비하된 외모이다. 그것을 말하는 것은 괜찮다 사실상 비하된 외모와 외모를 비하하는 것은 동일하다 하지만 비하된 외모는 다수가 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외모비하는 특정인이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책임감의 모호함으로 인해 변형이 된 것이 아닐까 싶다. 2021. 7. 9. 붓이 칼보다 강한 이유 인터넷에서 굴러다니던 트위터 내용이다 붓이 칼보다 강한 이유가 유추를 통해 증명하고자 했다 속담 속 강함이라는 뜻이 권력 또는 환경적 감함에서 물리적 강함으로 바뀌었는데 여기서 유추를 한다 또한 흉기가 되지 못하는 물건을 흉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강하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그냥 인터넷 유머일뿐이고 나 혼자 이 말이 논리적일까 고민해본 것일 뿐이다 2021. 6. 16. 관심법을 사용하는 기자 얀센 맞는 것인지 물어보면 아스트라제네가 백신에 대한 불신이 있다고 쓰고 있다. 자신이 접종하는 백신을 확인하는 행위가 어떻게 다른 백신에 대한 불신인지 이해를 할 수가 없다. 확인이라는 행위가 다른 것에 대한 불신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확인은 확인 자체일 뿐이다 이것은 명백한 의도확대의 오류이다. 기자의 의도가 보이는 글이다. 2021. 6. 15.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