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동양철학13 보스턴유교 Boston Confucianism Starting in the late 20th century, America has seen the rise of its own indigenous form of Confucianism known as Boston Confucianism. “Boston Confucians” was a term that began to be used jokingly in the late 1980s at conferences of Confucian-Christian pluralism.org 보스턴유교란 것도 있다 2022. 9. 30. 제6장 사문불경왕자론 1. 중국사상과 인도사상의 충돌 사문불경왕자론은 동진대에 유교를 표방하던 위정자가 불교 승려들로 하여금 왕에게 경례하게 하자 사문들이 반발해 상호간 논란이 오갔다. 중국-왕수교종(왕이 주가 되고 종교적 가르침은 부수적으로 따름) 인도-교수왕종 2. 제1차 불경왕자 문제의 발단 동진 함강 6년 집정사인 유빙이 사문은 왕에게 경례해야 한다고 주장한데서 비롯됨. 유빙(왕교일본설) 1) 유교의 예법을 없애면 국헌이 문란. 사문도 백성이므로 따라야함 2) 왕교가 분리되면 국가가 어지러워짐. 사문이 국왕에 예를 갖추지 않음은 높이는 대상이 둘이 됨 하충(왕교이본설) 1) 불교의 다섯가지 계율의 교훈은 왕의 교화를 도우므로 왕의 정치를 훼손하지 않음 2) 사문은 계를 유지하는 것이 예, 축원을 할때 반드시 국가를 우.. 2022. 9. 25. 양명학은 조선 후기의 대안이 될수 있었을까? 성리학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던 중 조선의 성리학은 양란이후에 망해야 했다고 들었다. 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성리학이 망하지 않은 것은 성리학을 대체할 만한 사상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성리학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이 필요하다 1. 전쟁 후로 피폐해진 인간성의 회복 2. 계층을 타파 할 수있는 대중 사상 3. 사회 경제,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 이런 조건을 보았을 때 그당시 어느 철학도 이 조건을 만족 시킬수 없다고 본다 유럽에서는 개몽주의가 싹트고 있었지만 조선에서 접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결국 양명학이 남는데 양명학이 성리학을 넘지 못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고 본다 가장 큰 이유는 양명학이 지나친 심학이다. 양명학에서의 앎(知)은 성리학의 앎과 다르다 성리학은 이기론으로 대표되는 .. 2022. 9. 14. 성리학에 대한 인식 뭔가 씁쓸하다 이 사람은 우리나라 국기 태극기를 부정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 2022. 8. 27. 철학의 구분 1. 서양철학 가. 존재론 - 근본적인 실재와 그 특징 및 존재물들의 구조등 해명 나. 인식론 - 인간은 어떻게 얼마나 알 수 있는가 다. 가치론 - 도덕과 아름다움, 윤리학, 미학 2. 동양철학 가. 본체론 - 세계와 존재에 관한 탐구, 천, 도, 태극, 리, 기 등을 바탕으로 세계와 만물 및 인간 설명 나. 심성론 - 인간의 본성이나 이성 작용에 관한 탐구 다. 수양론(공부론) - 이상적 인격 완성을 위한 방법론 탐구 출처: 신유가철학 비판, 서론 p33~34 2022. 5. 5. 출근길 사서삼경 대학 대학장구 강독(完) 주희의 대학장구를 함께 읽습니다 www.youtube.com 중용 중용 이기동교수 EBS 인문학특강 www.youtube.com 논어 최경열의 논어강독 www.youtube.com EBS 인문학 특강: Season 2014 www.youtube.com 맹자 홍익학당 [동양철학] 맹자 강의 www.youtube.com 2022. 1. 1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