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논리72

투표조작의 근거 기사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5&aid=0001319320&date=20200509&type=1&rankingSeq=10&rankingSectionId=100 민경욱이 ‘빼박 조작 증거’라며 비교한 민주당 사진 제21대 총선 인천 연수을에서 낙선한 뒤 ‘개표 조작’ 의혹을 제기해온 민경욱 미래통합당 의원이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라며 두 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민 의원은 8일 페이스북에 ‘조작 선거 빼박(빼도 박도 못하 news.naver.com 투표조작의 근거1 기사원문 “선출직 공무원들의 시청률과 호응도가 제일 높은 게 바로 출구조사 방송”이라며 “대승의 결.. 2020. 5. 9.
가장 남성다운 행위 인터넷을 보면 여러 말도 안되는 논리들이 가득하다. 그런데 정말 참신하고 이상한 댓글이 내 머리속을 맴돈다. '여장은 남자만이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남자다운 행위이다' 여장 코스프레에 블로그의 베스트 댓글이었다. 이 명제를 보면 모든 사람들이 어처구니 없지만 반박을 하기 참으로 어려워한다. 처음에는 남자에 대한 은밀한 재정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했지만 그것은 뭔가 부족하다 지금 내가 보는 이 글의 오류는 이렇다. '남자만이 할 수 있는 것이 남자다운 것'이라는 전재가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제는 틀린 명제이기 때문에 최초의 명제는 틀렸다고 봐야 한다. 2020. 5. 6.
20200505 기사 댓글 기사 '가상 청와대'로 어린이 초청...문 대통령 "우리 모두 영웅" 댓글 분석 명제1. 대통령이라는 자리가 그저 국민들과 소통하는 자리가 아니다. 명제2. 그럴거면 유능한 mc 데려다가 대통령시켜라. 명제3. 대통령은 한 국가의 수장이다. 1. 구조 명제1을 통해 명제2를 유추함 명제1, 2을 바탕으로 하고 싶은 주장을 펼침 2. 문제점 가. 명제1에서 대통령이 소통만 하고 있다는 근거가 필요함 나. 명제2에서 소통을 하고 있다는 내용만으로 MC를 대통령으로 하라는 것은 의도가 지나치게 확대 되었다. 3. 결론 한 기업의 CEO가 소통을 하지 않는다면 그것 또한 문제가 될 것이다. 소통도 기업을 운영하는데 중요한 역할이다. 또한 대통령은 고도의 정치적인 대표인데 과연 경제적인 문제로만 비판이 가능할까 .. 2020. 5. 5.
20200409 기사 댓글 오류 기사 美민주 '샌더스' 중도하차…트럼프-바이든 맞대결 댓글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22&aid=0000423364 분석 명제1. 바이든은 안된다 명제2. 2인자는 1인자가 될 수 없다. 명제3. 2인자는 2인자였던 이유가 있다. 명제4. 문재인도 노무현 친구로서 애시당초 문재인이 더 인물이었다면 문재인이 먼저 했다 1. 구조 명제3을 통해 명제2를 도출함 명제2을 바탕으로 명제1에서 2인자였던 바이든이 안된다고 말함 명제4는 명제3의 예시 2. 문제점 가. 명제2에서 2인자가 1인자가 될 수 없는 이유가 없다. 나. 명제3에서 2인자였던 이유가 없다. 그 이유가 필요하다. 다. 명제4에서 먼저 대통령을.. 2020. 5. 1.
20200407 기사 댓글 오류 기사 전문 웹소설 '재혼황후' 작가 인터뷰 진취적 여성 캐릭터로 인기몰이 웹툰에 이어 드라마 제작 확정 댓글 출처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3&aid=0003521401&date=20200407&type=1&rankingSeq=10&rankingSectionId=103 분석 명제1. 군주제 계급사회에 환상을 가지고 있는 주제에 진취적인 여성. 명제2. 좌익은 스스로 무슨 이념을 지지하는지 조차 모른다. 명제3. 좌익은 죄악이다 1. 구조 명제1을 통해 군주제와 진취적인 여성 캐릭터의 모순을 지적 명제1을 근거로 명제2에서 좌익의 어리석음 지적 명제1과 2에서 결론 2.. 2020. 4. 8.
짤의 논리 오류 (절대로 유병재님에게 안티라서 그런 것도 아니고 논리 오류를 못참아 분노해서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논리 공부 목적으로 글을 씁니다.) 유병재님의 논리는 이렇다 1. 큰 힘에게는 큰 책임이 따른다. 2. 따라서 힘이 없으면 책임이 따르지 않는다. 3. 나는 힘이 없다. 4. 그러므로 힘이 없는 나는 책임이 따르지않는다. 여기서 논리적오류는 1에서 2사이에 있다. 왜냐하면 1과 2는 전혀 다른 문장이기 때문이다. 수학에서 배우는 역,이,대우를 생각하면 쉽다. 1의 문장이 올바르게 변형되면 '책임이 따르지 않는 다면 큰 힘이 없다'가 된다. 이 문장과 2문장은 전혀 다른 문장으로 유병재님의 말은 논리적 오류가 되었다. 2019.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