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잡다 지식13

킥, 하아헷, 스네어 2021. 8. 15.
딥마인드 단백질 구조 딥마인드, 단백질 구조 초거대 데이터베이스 공개...인간 단백질 98.5% 담아내 - AI타임스 딥마인드의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AI) 기술인 알파폴드2가 생물학계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꾼다는 예언이 현실로 부쩍 다가왔다.딥마인드는 22일(현지시간) 유럽생물정보학 연구소(EMBL-EBI)와 www.aitimes.com 단백질 구조가 무엇이기에 사람들이 놀라는 걸까? 2021. 8. 13.
탁구 리시브 하기 공의 회전은 4가지 1) 백 - 커트 2) 전진 - 드라이브 3) 좌 - 공은 왼쪽 회전, 시계 반대방향 (오른손은 백, 왼손은 화) 4) 우 - 공은 오른쪽회전, 시계 방향 (오른손 화, 왼손은 백) 리시브는 짧게, 휘두르면 회전이 먹어서 멀리 나감, 상대와 같은 뱡향으로 라켓을 한다 그런데 너무 어렵다... 상대가 페이크 동작을 할 수도 있다. 2021. 7. 28.
스타2 로공3차관 로공 3차관 14 수정탑 16 관문 17 가스 테란전은 수정탑, 관문 짓고 서치 20, 넥서스, 융화소, 2번가스 22 수정탑 융화소 완료 로공, 추적자 또는 사도 로공 완성후 분광기, 2관문, 수정탑 여러개 2021. 7. 11.
텐세그리티 [건축구조] 가장 가볍지만 견고한 구조, 텐세그리티 이야기 출처: Wikipedia 위와 같이 막대기 같은 기둥과 거미줄 같은 실들이 수없이 엮어 있는 모습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언뜻 보면 기둥들이 공중에 둥둥 떠있는 것이 마구 엉켜있는 듯 하지만 반 samsungblueprint.tistory.com 기계·로봇 연구정보센터 근육을 이완 수축하는 것처럼 부드럽게 움직이는 로봇을 소프트 로봇이라고 합니다. 로봇이 딸기를 수확한다면 하드 로봇은 일일이 힘을 제어하면서 딸기를 잡지만 소프트 로봇은 복잡한 과정 www.materic.or.kr 텐세그리티라는 매우 신기한 구조물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뭔가 참 신기한 내용이다. 2021. 7. 10.
Geneplore 모형 Geneplore 모형은 생성적(generative) 인지 과정과 탐색적(exploratory) 인지과정의 복합어 창의적 과정은 생성적 과정과 탐색적 과정의 순환으로 발생한다. Ward는 연구에서 실험참가자에게 외계 동물을 그려보는 과제를 주었다. 그리고 그 외계동물을 그려내는 과정을 Geneplore 모형에 대응하여 설명하였다. 1. 동물과 관련된 정보를 생각(생성적 과정) 2. 외계 동물이라는 조건에 맞추어 정보 조정(탐색적 과정) 3. 생성 과정에서 정보가 탐색과정에 그대로 반영되면 창의력이 낮음. 출처: 이희주 (2003). Geneplore 모델에 근거한 창의적 인지발달. 대한사고개발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 집, 49-62 이미나 창의적 아이디어의 생산 2021. 4. 20.